기출 문제 다운로드
기출 문제 내용
과학탐구 영역 지구 과학 I 3
7 32
1. 다음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하위헌스호에 대한 학생 A, B, C의
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A ② B ③ A, C ④ B, C ⑤ A, B, C
2. 그림 (가), (나), (다)는 한반도의 지질 명소를 나타낸 것이다.
(가) 설악산 울산바위 (나) 백령도 두무진 (다) 제주도 수월봉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가)의 암석은 중생대에 생성되었다.
ㄴ. (나)의 구성 암석 중 규암이 가장 많다.
ㄷ. (다)에서는 화산 쇄설물이 쌓여 형성된 층리가 관찰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3. 그림 (가), (나), (다)는 지하자원을 나타낸 것이다.
(가) 석탄 (나) 석회석 (다) 망가니즈(망간) 광석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가)는 화석 연료에 해당한다.
ㄴ. (나)는 퇴적 광상에서 산출된다.
ㄷ. (다)에서 금속을 얻기 위해서는 제련 과정을 거쳐야 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4. 다음은 토양 산성화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Ⅰ]
(가) 비커 A, B, C에 토양 g과 증류수 mL를
각각 넣어 섞는다.
(나) B에 묽은 염산 ~방울, C에 묽은 염산
~방울을 각각 떨어뜨려 섞는다.
(다) A, B, C에담긴 토양 시료의 pH를 그림과
같이 측정한다.
[실험 Ⅱ]
(가) 비커 D, E, F에 산성화된 토양을 g씩 담는다.
(나) E와 F에 석회 가루 g, g을 각각 넣어 섞는다.
(다) D, E, F에 토양 시료를 g씩 남긴다.
(라) D, E, F에 각각 증류수 mL를 섞은 후 pH를 측정한다.
[실험 결과]
◦ 실험Ⅰ ◦ 실험 Ⅱ
비커 pH
A
B
C ( ㉠ )
비커 pH
D
E
F (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실험Ⅰ의 (나)는 산성비에 의해 토양이 산성화되는 과정에
해당한다.
ㄴ. ㉠
㉡ 이다.
ㄷ. 산성 토양에 석회 가루를 뿌리면 산성화 정도가 커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5. 그림 (가)는 우리나라의 연도별 수자원 총량과 총 이용량을,
(나)는 A, B, C 중 한 해의 수자원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가)에서 수자원 총량에 대한 총 이용량의 비율은 B가
A보다 크다.
ㄴ. (나)에서 총 이용량은 바다로의 유실량보다 많다.
ㄷ. (나)에서 손실량은 수자원 총량의 %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
제 4 교시 과학탐구 영역(지구 과학 I)
1
지
구
과
학
I
성명 수험 번호 제 [ ] 선택
이 문제지에 관한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습니다.
2 (지구 과학 I) 과학탐구 영역
8 32
6. 그림 (가)는 A와 B 지역의 지열 에너지를, (나)는 C와 D 지역의
연간 평균 풍속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지열 에너지는 A가 B보다 작다.
ㄴ. 풍력 에너지 자원은 C가 D보다 적다.
ㄷ. 지열 발전이 풍력 발전보다 생산 가능한 전력량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 그림은 월과 월의 지표 부근의 평년 풍향 분포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월의 평년 풍향 분포에 해당한다.
ㄴ. 지역 A의 표층 해류의 방향과 북태평양 해류의 방향은
반대이다.
ㄷ. 지역 B의 고기압은 해들리 순환의 하강으로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8. 그림은 태평양 어느 지역의 판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지역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판의 두께가 가장 얇은 곳은 B이다.
ㄴ. 분출된 용암의 평균 점성은 B가 A보다 작다.
ㄷ. 인접한 두 판의 밀도 차는 C가 B보다 작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 그림 (가)는 적도 부근 해역에서 동태평양과 서태평양의 해수면
기압 차(동태평양 기압 서태평양 기압)를, (나)는 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에서 ㉠과 ㉡ 중 한 시기에 관측된 따뜻한 해수층의
두께 편차(관측값 평년값)를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 중 하나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나)는 ㉠에 해당한다.
ㄴ. 서태평양 적도 해역과 동태평양 적도 해역 사이의 해수면
높이 차는 ㉠이 ㉡보다 크다.
ㄷ.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에서 구름양은 ㉠이 ㉡보다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10. 그림 (가)는 복사 평형 상태에 있는 지구의 열수지를, (나)는
파장에 따른 대기의 지구 복사 에너지 흡수도를 나타낸 것이다.
㉠, ㉡, ㉢은 파장 영역에 해당한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EHC
D 이다.
ㄴ. C는 대부분 ㉠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양이다.
ㄷ. 대규모 산불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다량의 기체는
대기의 지구 복사 에너지 흡수도를 증가시킨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 문제지에 관한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습니다.
과학탐구 영역 지구 과학 I 3
25 32
11. 그림 (가)는 어느 도시에서 년 동안 인간 활동에 의해 배출된
주요 대기 오염 물질의 질량비를, (나)는 이 도시의 대기 오염 물질
㉠, ㉡, ㉢의 시간대별 연평균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이산화 질소, 이산화 황, 오존 중 하나이다.
(가) (나)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가)에서 질량비가 가장 큰 물질은 ㉡을 포함한다.
ㄴ.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은 ㉠의 생성에 관련된다.
ㄷ. 런던형 스모그의 주요 원인 물질은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12. 표의 (가)는 일 강수량 분포를, (나)는 지점 A의 일 풍향
빈도를 나타낸 것이다. D → D는 하루 간격이고 이 기간 동안
우리나라는 정체 전선의 영향권에 있었다.
D 일 D 일
(가)
(나)
지점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D일 때 정체 전선의 위치는 D일 때보다 북쪽이다.
ㄴ. D일 때 남동풍의 빈도는 남서풍의 빈도보다 크다.
ㄷ. D일 때가 D일 때보다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더 받는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3. 그림 (가)와 (나)는 태풍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 관측소 A와 B에서
T~T 동안 측정한 기온, 기압, 풍향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관측소 A (나) 관측소 B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T∼T 동안 A는 위험 반원, B는 안전 반원에 위치한다.
ㄴ. 태풍의 중심이 가장 가까이 통과한 시각은 A가 B보다 늦다.
ㄷ. T∼T 동안 A와 B의 기온은 상승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 그림 (가)는 태양에서 나타나는 현상 A와 B를, (나)는 태양
광구로부터의 높이에 따른 대기의 온도와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B의 크기는 A 수의 극대기가 극소기보다 크다.
ㄴ. ㉡ 영역의 대기는 B에 해당한다.
ㄷ. A는 ㉠ 영역에서 발생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5. 그림은 태양보다 질량이 작은 주계열성이 중심별인 어느 외계
행성계를 나타낸 것이다. 각 행성의 위치는 중심별로부터 행성까지의
거리에 해당하고, S 값은 그 위치에서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이 받는
복사 에너지이다. 생명 가능 지대에 존재하는 행성은 A이다.
이 행성계가 태양계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중심별로부터 생명 가능 지대 안쪽 경계까지의 행성 수
ㄴ. S 인 위치에서 중심별까지의 거리
ㄷ. 생명 가능 지대에 존재하는 행성의 S 값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 문제지에 관한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습니다.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4 (지구 과학 I) 과학탐구 영역
26 32
16. 그림은 어느 화강암에서 화학적 풍화가 일어날 때 풍화 정도에
따라 구성 광물 부피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화강암의 풍화 전
구성 광물은 흑운모, 백운모, 정장석, 사장석, 석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A에서 풍화 생성 광물에 대한 화강암의 조암 광물의 비는
보다 작다.
ㄴ. A에서 B로 풍화되는 동안 화강암의 조암 광물 중 점토
광물로 가장 많이 풍화된 광물은 사장석이다.
ㄷ. 한랭 건조한 기후보다 고온 다습한 기후에서 점토 광물의
형성이 우세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7. 표는 가상의 소행성 A와 B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
에서 어느 날 자정 무렵에 A와 B는
같은 고도로 남중하였고, 이때 A와
B는 근일점에 있으며, 지구로부터
A와 B까지의 거리는 각각 AU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a
x
는 b
y 보다 작다.
ㄴ. 이날 A가 단위 시간당 쓸고 지나간 궤도 면적은 B와 같다.
ㄷ. 이날로부터 년째 되는 날 자정에 A에서 B까지의
거리는 AU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18. 표는 굴절 망원경 A와 B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A와 B의
접안렌즈는 동일하다.
굴절 망원경 A B
대물렌즈의 면적(mm
)
대물렌즈의 초점 거리(mm ) ( ㉠ )
배율 (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 기>
ㄱ. A의 배율이 B의 배일 때 ㉠은 이다.
ㄴ. 대물렌즈의 집광력은 A가 B의 배이다.
ㄷ. 물체를 구분하여 볼 수 있는 최소 각거리는 B가 A의 배
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19. 그림 (가)와 (나)는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과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지구 자전축 세차 운동의 주기는
약 년이고 방향은 지구 공전 방향과 반대이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 자전축 경사각, 세차 운동
이외의 요인은 변하지 않는다.)
<보 기>
ㄱ. 원일점에서 °S의 밤의 길이는 현재가 년 전보다
짧다.
ㄴ. °N에서 기온의 연교차는 현재가 년 전보다 작다.
ㄷ. °S의 겨울철 태양의 남중 고도는 년 후가 현재보다
낮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 그림은 어느 날 남반구 어느 지역에서 관측한 별 A, B, C의
방위각과 고도를 나타낸 것이다. X와 Y는 각각 황도와 천구의
적도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방위각은 ° 간격이며,
북점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3점]
① 이날 북반구 중위도에서 A가 B보다 자오선을 나중에 통과한다.
② 이날 하루 중 최대 고도는 B가 C보다 높다.
③ 다음 날 낮의 길이는 길어진다.
④ 태양의 방위각은 °이다.
⑤ A는 출몰성이다.
소행성 A B
공전 주기(년) ( )
원일점 거리(AU) ( )
궤도 중심과 태양
사이 거리(AU) a b
긴 반지름(AU) x y
이 문제지에 관한 저작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있습니다.
'수능 기출문제 > 202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수능 기출 문제, 답안지,정답 - 과탐(화학1) (0) | 2021.11.26 |
---|---|
2020년 수능 기출 문제, 답안지,정답 - 과탐(지구 과학2) (0) | 2021.11.26 |
2020년 수능 기출 문제, 답안지,정답 - 과탐(생명 과학2) (0) | 2021.11.26 |
2020년 수능 기출 문제, 답안지,정답 - 과탐(생명 과학1) (0) | 2021.11.26 |
2020년 수능 기출 문제, 답안지,정답 - 과탐(물리1) (0) | 2021.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