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문제 다운로드
기출 문제 내용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옳은 것은?
[1 점]
3. (가) 나라의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 점]
특별 기획전
(가) 시대,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다
우리 박물관에서는 농경과 정착 생활이 시작된 (가) 시대 특별전을 마련하였습니다. 당시 사람들이 사용하였던 도구를 통해 그들의 생활 모습을 살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 기간: 2020.OO.OO.~OO.OO.
• 장소: 스스 박물관 기획 전시실
• 주요 전시 유물
①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②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③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④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
⑤ 쟁기,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이곳은 김해 대성동 고분군 108호분 발굴 조사 설명회 현장입니다. ’■ 대형 덩이쇠 40매와 둥근고리큰칼. 화살촉 등 130여 점의 철기 유물이 ; : 출토되었습니다. 이번 발굴로 김수로왕이 건국하였다고 전해지는 ; (가) I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① ②
2.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4.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이 나라에는 왕이 있고 벼슬로는 상가 • 대로 • 패자 ■ 고추가 • 주부•우태•승•사자•조의•선인이 있으며, 존비(尊卑)에 따라 각각 등급을 두었다. 모든 대가들도 스스로 사자• 조의 • 선인을 두었는데, 그 명단은 모두 왕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들이 모여 회의하여 즉시 사형에 처하고, 그 처자는 노비로 삼는다.
-『삼국지 J 동이전-
① 집집마다 부경이라는 창고가 있었다.
②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③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④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⑤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 역 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가) 백제왕 모대가 사신을 보내 혼인하기를 청하였다. I신라1왕은 이벌찬 비지(比智)의 딸을 보냈다.
-『삼국사기 J -
(나) 신라를 습격하기 위해 왕이 직접 보병과 기병 50명을 거느리고 구천(物川)에 이르렀는데, 신라 복병을 만나 그들과 싸우다가 살해되었다. 시호를 성(聖)이라 하였다.
-『삼국사기 j -
① 고구려가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② 백제가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다.
③ 신라가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를 격퇴하였다.
④ 고구려가 동옥저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⑤ 백제가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수복하였다.
5. 다음 가상 뉴스의 보도 내용이 나타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 점]
김춘추. 량의 군사 지원 약속받고 귀국
589 645 660 668 676 698
(가) (나) 1 (다) 料) (마)
수의 안시성 황산벌 평양성 기벌포 발해
중국 통일 전투 전투 함락 전투 건국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7. 밑줄 그은 '이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점]
② 원종과 애노의 난 등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③ 복신과 도침이 주류성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④ 묘청 등이 중심이 되어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⑤ 부처의 힘을 빌려 외침을 막고자 팔만대장경이 조판되었다.
8. 밑줄 그은 '이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6. (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①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②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③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 지하였다.
④ 최고 지배자의 칭호를 마립간으로 하였다.
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① 중정대를 두어 관리를 감찰하였다.
②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③ 군사 조직을 9서당 W정으로 편성하였다.
④ 골품에 따라 관직 승진에 제한을 두었다.
⑤ 상수리 제도를 시행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였다.
11. (가)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9. (가)〜(마)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을 것은? [2점]
① (가) - 내부에서 천마도가 수습되었다.
② (나) - 자장의 건의로 건립되었다.
③ (다) - 나무로 만든 14면체 주사위가 출토되었다.
④ (라) -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탑이 남아 있다.
⑤ (마) - 경내의 삼층 석탑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이 지도는 개경 환도 결정에 반발하여 : 봉기한 I (가) I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 것입니다. 강화도와 진도에서는 배중손. ; 제주도에서는 김통정을 중심으로 항쟁 : 하였습니다. ;
①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②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창설되었다.
③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되었다.
④ 유사시에 향토 방위를 맡는 예비군이었다.
⑤ 옷깃 색을 기준으로 9개의 부대로 편성되었다.
12.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 점]
10.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가) 태조는 정예 기병 5천을 거느리고 공산(公山) 아래에서 견훤을 맞아서 크게 싸웠다. 태조의 장수 김락과 신숭겸은 죽고 모든 군사가 패배했으며, 태조는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삼국유사j 一
(나) [태조를] 신검의 군대가 막아서자 일리천(一利川)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였다. 태조가 견훤과 함께 병사들을 사열한 후 …… 신검이 양검, 용검 및 문무 관료들과 함께 항복하여 오니. 태조가 그를 위로하였다.
-1■고려사절요j -
① 최승로가 시무 28조를 건의하였다.
② 경순왕 김부가 경주의 사심관이 되었다.
③ 대공이 난을 일으키자 귀족들이 동참하였다.
④ 궁예가 국호를 마진에서 태봉으로 바꾸었다.
⑤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가 시행되었다.
① 당에 유학생을 파견하다
② 전문 강좌인 7재를 개설하다
③ 사액 서원에 서적과 노비를 지급하다
④ 글과 활쏘기를 가르치는 경당을 설립하다
⑤ 관리 채용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시행하다
13. 다음 자료의 상황이 나타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 점]
15. 밑줄 그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바이:흐로 금이 번성하여 우리 왕조로 하여금 신하를 칭하게 하고자 하였다. 중론이 뒤섞여 어지러웠는데 공이 홀로 간쟁하기를. “…… 여진은 본래 우리 왕조 사람의 자손 이었습니다. 그래서 신하가 되어 천자를 조회하였고 국경 부근의 사람들은 모두 우리 왕조의 호적에 속한 지가 오래 되었습니다. 어찌 우리 왕조가 도리어 신하가 될 수 있습니까•?•라고 하였다. 당시에 권신(權臣)이 왕명을 멋대로 하였으므로 이에 신하를 칭하고 이로 인해 서표(普表)를 올렸다. 진실로 인종의 본심이 아니었으니 공이 심히 부끄럽고 슬프게 여겼다.
- 윤언이 묘지명 -
(가) (나) 付) (라) (마)
918
1019 1104 1170 1232 1356
①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교리를 전파하였다.
② 불교 개혁을 주장하며 수선사 결사를 조직하였다.
③ 선문염송집을 편찬하고 유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④ 불교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⑤ 이론 연마와 수행을 함께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⑤ (마)
16. 다음 제도가 시행된 국가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2점]
14.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역사용어 허설
o 경종 원년, 처음으로 직관a故旨)과 산관(散官) 각 품의 전시과를 제정하였다.
o 문종 30년, 양반 전시과를 다시 고쳤다. 제1과는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중으로 전지 100결과 시지 50결을 주며, …… 제18과는 한인(閑人). 잡류_로 전지 17결을 주었다.
(가)
1. 개요
고려의 회의 기구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위 관료들이 모여 주로 국방과 군사 문제를 다루었다.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하는 식목도감과 함께 합의제로 운영되었다.
① 솔빈부의 말이 특산물로 거래되었다.
② 청해진이 국제 무역 거점으로 번성하였다.
③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이 설치되었다.
④ 건원중보가 발행되어 금속 화폐의 통용이 추진되었다.
⑤ 설점수세제의 시행으로 민간의 광산 개발이 허용되었다.
2. 관련 사료
판사(判事)는 시중•평장사•참지정사•정당문학- 지문하성사로 임명하였으며, 사《使)는 6추밀 및 직사 3품 이상으로 임명하였다. …… 무릇 국가에 큰 일이 있으면 사{使) 이상의 관료가 모여서 의논하였으므로 합좌라는 이름이 있었다.
-1•고려사j -
① 물가 조절을 위해 상평창을 설치하였어.
② 병자에게 의약품을 제공하는 혜민국이 있었어.
③ 환자 치료와 빈민 구제를 위해 동• 서 대비원을 두었어.
④ 국산 약재와 치료 방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이 간행되었어.
⑤ 기금을 모아 그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위보를 운영하였어.
20.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1 점]
18.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것은? [2점]
■ 종목 : 사적 제117호
■ 소개
이곳은 '군자가 만년토록 큰 복을 누린다.’라는 뜻을 지닌 궁궐입니다. 궁궐 안에는 국왕의 정무 공간과 왕실의 생활 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 주요 관람 경로
광화문 - 근정전 一 사정전 一 강녕전과 교태전 一 향원정 - 건창궁一 경회루
이 우표 속 인물은 15세기 조선의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 ᄅ 하였습니다. 이 인물의 활동에 대해 말해 볼까요?
① 종두법을 소개하였습니다.
② 거중기를 설계하였습니다.
③ 동의보감을 완성하였습니다.
④ 칠정산 외편을 편찬하였습니다.
⑤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① 고종이 아관파천 이후 환궁한 곳이다.
② 태조 때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창건되었다.
③ 조선 물산 공진회 개최 장소로도 이용되었다.
④ 명성 황후가 일본 낭인들에 의해 시해된 장소이다.
⑤ 일제에 의해 궁궐 안에 조선 총독부 건물이 세워졌다.
21. (가)〜(라)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9.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선유(先備)가 불씨(佛氏)의 지옥설을 논박하여 말하기를, “…… 불법(佛法)이 중국에 들어오기 전에도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사람들이 있었는데. 어째서 한 사람도 지옥에 들어가 소위 시왕(十포,이란 것을 본 자가 없단 말인가? 그 지옥이란 없기도 하거니와 믿을 수 없음이 명백하다."라고 하였다. *시왕(十主):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삼봉집 J -
① 계유정난을 계기로 정계에서 축출되었다.
② 일본에 다녀와서 해동제국기를 편찬하였다.
③ 기축봉사를올려 명에 대한 의리를 내세웠다.
④ 군주의 도를 도식으로 설명한 성학십도를 지었다.
⑤ 조선경국전을 저술하여 통치 제도 정비에 기여하였다.
(가) 갑자년 봄에. 임금은 어머니가 비명에 죽은 것을 분하게 여겨 그 당시 논의에 참여하고 명을 수행한 신하를 모두 대역죄로 추죄(追罪)하여 팔촌까지 연좌시켰다.
(나) 정문형. 한치례 등이 의논하기를, “지금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보니. 차마 읽을 수도 볼 수도 없습니다. …… 마땅히 대역의 죄로 논단하고 부관참시해서 그 죄를 분명히 밝혀 신하들과 백성들의 분을 씻는 것이 사리에 맞는 일이옵니다.”라고 하였다. (다) 정유년 이후부터 조정 신하들 사이에는 대윤이니 소윤이니 하는 말들이 있었다. …… 자전은 밀지를 윤원형에게 내렸다. 이에 이기. 임백령 등이 고변하여 큰 화를 만들어 냈다.
(라) 언문으로 쓴 밀지에 이르기를. “조광조가 현량과를 설치하자고 청한 것도 처음에는 인재를 얻기 위해서라고 생각했더니 …… 경들은 먼저 그를 없앤 뒤에 보고하라.”라고 하였다. *자전_: 임금의 어머니
① (가) - (나) - 付) - (라) ③ (나) - (가) - (라) - (다) ⑤ (다) - (라) - (나) - (가)
22. 밑줄 그은 ‘이 전쟁’ 중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① 이괄의 반란 세력이 도성을 장악하였다.
② 곽재우, 고경명 등이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③ 김준롱이 근왕병을 이끌고 광교산에서 항전하였다.
④ 외적의 침입에 대응하여 임시 기구로 비변사가 처음 설치되었다.
⑤ 포수 . 사수 .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제된 훈련도감이 신설되었다.
24.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지 않을 것은? [2 점]
선혜청 당상 민응수가 “지금 돈이 귀해진 것은 공가(公家)에서 거두어 숨겨 두고 부민(富民)들이 쌓아 두어 유통이 되지 않아서입니다. 만일 관가의 돈을 쌓아 두는 폐단을 없애고 민간의 돈을 유통시키는 효과가 있게 한다면. 전황_의 폐단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더 주조하는 > 길밖에 다른 도리가 없으니, 후일 다시 의논하여 아뢰도록 하라.”라고하였다.
① 송상. 만상이 대청 무역으로 부를 축적하였다.
② 왜관에서 개시 무역과 후시 무역이 이루어졌다.
③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덕대가 등장하였다.
④ 관리가 과전법에 의해 토지의 수조권을 지급받았다.
⑤ 모내기법의 확대로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확산되었다.
25. (가) 지역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23.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사건 일지
2월 19일
2월 13일
2월 14일
2월 恨일
2월 ?일 수곡 도회滿i舍) 주모자 유계춘을병영에 감금 집안 제사 참석을 요청한 유계춘을 임시 석방 덕천 장시 등에서 농민 시위 전개
목사 흥병원이 사족(士族) 이명윤에게 농민 시위 무마를 부탁하며 정해진 액수 이상으로 세금을 징수하지 않겠다는 문서 전달
우병사 백낙신이 시위를 해산하려 하자 성난 농민들이 그를 포위하여 감금
① 남접과북접이 연합하여 전개되었다.
② 정부와 약조를 맺고 집강소를 설치하였다.
③ 상황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④ 지역 차별에 반발한 홍경래가 주도하여 봉기하였다.
⑤ 함경도와 황해도에 방곡령이 선포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① 직지심체요절이 금속활자로 간행되었다.
②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③ 신립이 배수의 진을 치고 왜군에 항전하였다.
④ 명 신종의 제사를 지내는 만동묘가 건립되었다.
⑤ 만적을 비롯한 노비들이 신분 해방을 도모하였다.
28.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O 왕이 말하기를. “요즘 각 고을 백성의 생활 형편이 매우 좋지 않다고 한다. 작년부터 I (가) I이/가 분부를 내려 양반 호斤}는 노비의 이름으로 포(布}를 내게 하였고. 일반 백성들은 신포(身布)로 내게 하였다. …… 의정부에서는 각 도에 알려 이를 만년의 법식으로 삼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였다.
O 왕이 말하기를. “요즘에 서원마다 사무를 자손들이 주관하고 붕당을 각기 주장하니. 이로 인한 폐해가 백성들에게 미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서원을 훼철(弼散广하고 신주를 땅에 묻어 버리는 등의 절차를 I (가) I의 분부대로 거행하도록 해당 관청에서 팔도(八道)와 사도(四都)에 알리라.”라고 하였다.
*훼철_0: 헐어서 치워 버림
-1•승정원일기 j-
① 통리기무아문과 12사를 설치하였다.
②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③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④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였다.
⑤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사창제를 전국적으로 시행하였다.
29. 밑줄 그은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27. (가)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경주 사람 최복술은 아이들에게 공부 가르치는 것을 직업으로 삼았다. 그런데 양학(洋學)이 갑자기 퍼지는 것을 차마 보고 앉아 있을 수 없어서, 하늘을 공경하고 순종하는 마음으로 글귀를 지어.
(가) 1(이)라 불렀다. 양학은 음(陰)이고, D가LJ은/는
양(陽)이기 때문에 양을 가지고 음을 억제할 목적으로 글귀를 외우고 읽고 하였다.
、발신: 의정부
수신: 각도 관찰사, 수원•광주개성 •강화의 유수, 동래 부사
제목: 조약체결 알림
1. 관련
가. 영종진 불법 침입 보고(강화부, 을해년)
나. 교섭 결과보고(신헌, 병자년)
2. 일본국과의 체결에 대해 알립니다. 해당 관아에서는 연해 각 읍에 통지하여. 앞으로 일본국의 표식을 게양 또는 부착한 선박이 항해 또는 정박 시 불필요한 충돌을 방지하기 바랍니다.
붙임: 존란본문등사본 1부. 끝.
①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였다.
② 박중빈을 중심으로 새생활 운동을 추진하였다.
③ 일제의 통제에 맞서 사찰령 폐지 운동을 벌였다.
④ 마음속에 한울님을 모시는 시천주를 강조하였다.
⑤ 황사영이 외국 군대의 출병을 요청하는 백서를 작성하였다.
① 천주교 포교의 허용 근거가 되었다.
② 거중 조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③ 재정 고문을 두도록 하는 조항을 담고 있다.
④ 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민영환이 자결하였다.
⑤ 부산 외 2곳에 개항장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30.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점]
32. 밑줄 그은 ‘이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I 역사 인물 카드 I /
•생몰: 1841년~1905년
• 시호: 문익(文W
•주요활동
- 조사시찰단으로 일본 파견
- 초대 주미 공사부임
- 호조 판서, 한성부 판윤 역임
- 군국가무처 부총재 겸임
• 저서: 일본내무성시찰기, 미속습유 등
이것은 일제로부터 도입한 차관을 갚기 위해 일어난 이 운동을 기념하여 대구에 세운 조형물입니다. 개화 지식인. 상인. 여성이 엽전을 떠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형상화되었습니다.
①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창립하였다.
② 고종의 밀지를 받아 독립 의군부를 조직하였다.
③ 조선 광문회를 조직하여 민족 고전을 간행하였다.
④ 13도 창의군을 결성하여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⑤ 독립 협회의 제안을 받아들여 중추원 관제 개편을 추진하였다.
① 황국 중앙 총상회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②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에 반대하였다.
③ 조선 총독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실패하였다.
④ 대한매일신보 등 당시 언론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⑤ 일본. 프랑스 등의 노동 단체로부터 격려 전문을 받았다.
33. (가)〜(다)를 발표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 점]
1.지금부터는 국내외의 공사《公私) 문서에 개국기년(開國紀年}을 쓴다.
1. 과부가 재혼하는 것은 귀천을 막론하고 자신의 의사대로 하게 한다.
1. 공노비와 사노비에 관한 법을 일체 혁파하고 사람을 사고 파는 일을 금지휀다.
우리 조정은 정학(正學)을 승상하고 이단을 물리쳐서 만백성을 바르게 이끌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 비록 황준헌의 책자로 말하더라도 그 글이 바른가 바르지 못한가 그 말이 좋은가 나쁜가에 대해 신은 진실로 모르지만 …… 기계에 관한 기술과농업 및 식목에 대한 책이 이익이 된다면 선택하여 시행할 것이지, 굳이 그들의 것이라고 해서 좋은 법까지 배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번 단발은 위생에 이익이 되고 일을 할 때 편하기 위하여 우리 성상 폐하께서 정치 개혁과 국가의 부강함을 도모하고자 솔선하여 표준을 보이심이라. 무릇 우리 대조선국 인민은 이와 같은 성의를 본받되 의관 제도는 다음과 같이 고시함.
1. 망건은 폐지함
1. 의복 제도는 외국 제도를 채용하여도 무방함
제1조 원수부는 국방과 용병과 군사에 관한 각 항의 명령을 관장하며 특별히 세운 권한을 가지고 군부와 경외(京外)의 각 부대를 지휘 감독한다.
제2조모든 명령은 대원수 폐하가 원수 전하를 경유하여 하달 한다.
제3조 원수부는 황궁《皇宮》내에 설치한다.
② (가) - (다) - (나) ④ (나) - (다) - (가)
34. 다음 법령이 시행된 시기에 볼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1 점]
36. 밑줄 그은 '이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제1조 조선 주차@前) 헌병은 치안 유지에 관한 경찰 및 군사 경찰을 담당한다.
[ 제5조 헌병은 직무에 관해 정당한 직권을 가진 사람의 요구가 〜 있을 때에는 즉시 응해야 한다.
제18조 헌병의 복무 및 헌병 보조원에 관한 규정은 조선 총독이 정한다. '
① 경성 제국 대학에 다니는 학생
② 원산 총파업에 동참하는 노동자
③ 조선어 학회에서 활동하는 교사
④ 암태도 소작 쟁의에 참여하는 농민
⑤ 조선 태형령을 관보에 게재하는 관리
① 일제가 조작한 W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
②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③ 만민 공동회를 열어 민권 신장을 추구하였다.
④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⑤ 어린이 등의 잡지를 발간하여 소년 운동을 주도하였다.
37. (가), (나)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보기〉에서 고른 것은? [3 점]
35. 다음 상황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대한 제국이 여러 국가와 외교 관계를 단절한 것은 우리의 의사가 아니라 일본의 폭력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우리가 만국 평화 회의에 잠석하여 이를 폭로할 수 있도록 귀국 총통 및 대표의 호의적인 중재를 부락한다.
① 고종이 강제로 퇴위당하였다.
②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③ 구식 군인들이 일본 공사관을 습격하였다.
④ 우정총국 개국축하연에서 정변이 일어났다.
⑤ 일본과 미국이 가쓰라 ■ 태프트 밀약을 체결하였다.
〈보 7]>
' (가) - 육영 공원에서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L. (가) -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 설립을 주관하였다.
(나) - 중국 안동에서 무역 회사인 이륭양행을 운영하였다.
5. (나) - 이화 학당을 설립하여 근대적 여성 교육에 기여하였다.
① ᄀ,1_ ② ᄀ,!: ® L C (4)1- H ⑤ C, 5
XT
38. 다음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40. (가) 지역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 점]
그날 오후 2시 10분 파고다 공원에 모였던 수백 명의 학생들이 W여 년간 억눌려 온 감정을 터뜨려 ‘만세. 독립 만세’를 외치자 뇌성 벽력 같은 소리에 공원 근처에 살던 시민들도 크게 놀랐다. 공원 문을 쏟아져 나온 학생들은 종로 거리를 달리며 몸에 숨겼던 선언서들을 길가에 뿌리며 거리를 누볐다. 윌슨 대통령이 주장한 약소민족의 자결권이 실현되는 신세계가 시작된 것이다. 시위 학생들은 덕수궁 문 앞에 당도하자 붕어하신 고종에게 조의를 표하고 잠시 몇었다.
•■스코필드 기고문_
국외 민족 운동 유적지 답사 사진전
우리 학교 역사 동아리에서는 | (가) | 지역의
민족 운동을 조명하는 답사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학생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명동 학교 삼종사 묘 봉오동 전투 전적비
■ 71간: 2020. oo. OO. ~ 00. OO.
■ 장소:본관2충동아리실
① 조선 형평사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② 신간회에서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③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④ 전개 과정에서 일제가 제암리 학살 등을 자행하였다.
⑤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① 권업회를 조직하여 기관지를 발행하였다.
② 중광단을 결성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③ 숭무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④ 조선 독립 동맹을 창립하여 대일 항전을 준비하였다.
⑤ 조선 청년 독립단을 결성하여 2 • 8 독립 선언서를 배포하였다.
39. (가) 인물의 활동으로 옮은 것은?
[3 점]
41. 다음 가상 인터뷰의 주인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이곳은 경상북도 영양군에 있는 독립운동가 1 (기) |의 옛 거처 입니다. | (가) |은/는 조선 총독 암살을 기도하였고. 국제 연맹 조사단에 강력한 독립 의지를 표명하는 혈서를 전달하고자 시도하였습니다. 이후 만주국 주재 일본 대사 암살 계획이 발각되어 체포된 뒤 순국하였습니다.
: 선생께서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일제의 침략과 탄압에 맞선 우리 독립 ■ 저술하신 동기를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투쟁의 역사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①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②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③ 명동 성당 앞에서 이완용을 습격하여 중상을 입혔다.
④ 간도에서 여자 권학회를 조직하여 계몽활동에 힘썼다.
⑤ 평양 을밀대 지붕에서 임금 삭감에 저항하여 농성을 벌였다.
① 민족의 얼을 강조하고 조선학 운동을 추진하였다.
② 진단 학회를 설립하여 실증주의 사학을 발전시켰다.
③ 조선사 편수회에 들어가 조선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④ 유물 사관을 바탕으로 조선사회경제사를 저술하였다.
⑤ 한국통사를 저술하고 민족주의 사학의 기초를 닦았다.
42.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44. 밑줄 그은‘이 시기’에 시행된 일제의 정책으로 옳지 않& 것은?
[2 점]
(가) 동북 3성의 군벌 장작림(張作載)과 일본과의 협정이 성립되어 독립운동하는 한국인은 잡히는 대로 왜에게 넘겨졌다. 심지어 중국 백성들은 한국인 한 명의 머리를 베어 왜놈 영사관에 가서 몇 십 원 내지 3, 4원씩 받고 팔기도 했다.
(나) 나와 공근은 상해의 프랑스 조계를 떠나 기차역으로 가서 그날로 가흥(蔣興)으로 피신하였다. 그곳은 박찬익 형이 은주부와 저보성 제씨(諸氏)에게 주선하여 며칠 전에 엄항섭 군의 가족과 김의한 일가, 석오 이동녕 선생이 벌써 이사하였던 곳이다.
_「백범일지j 一
① 일본군의 보복으로 간도 참변이 발생하였다.
② 한국 광복군이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③ 한인 애국단이 조직되어 의거 활동을 전개하였다.
④ 일본의 토지 침탈을 막고자농광 회사가 설립되었다.
⑤ 삼균주의에 입각한 대한민국 건국 강령이 발표되었다.
일본 정부가 우리 역사를 왜곡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도쿄에 개관하였습니다. 중 일 전쟁 이후 일제가 침략 전쟁을 확대하던 이 시기의 한국인 강제 동원 사실을 부정하는 전시를 하고 있어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
① 여자 정신 근로령을 공포하였다.
② 육군 특별 지원병제를 실시하였다.
③ 식량 배급 및 미곡 공출 제도를 시행하였다.
④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통해 독립운동을 탄압하였다.
⑤ 기한 내에 소유지를 신고하게 하는 토지 조사령을 제정하였다.
45.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43. 다음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0여 년이나 비밀리에 행동한 조선 혁명 청년은 지금도 중국 항일전에서 혁명 행동의 기회를 얻어, …… | (가) |은/는 10월
10일 한구(漢ᄆ)에서 성립, 중앙군의 이동에 따라 계림(桂林)으로 왔다. 대장 진빈 선생[김원봉]은 금년 41세로서, 1919년 조선의 3월 운동 및 조선 총독부 파괴의 의열단 사건 등도 그들에 의한 것이다.
-「국민공론j-
[1 점]
① 청산리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②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③ 일본군의 공세를 피해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④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흥경성 전투를 이끌었다.
⑤ 중국 관내(關內)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였다.
46. 다음 기념사를 발표한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 점]
「내살님 내것으로 H
•l« p4IKrM-9«!4v쓱 WSO4 5WD iBiJCK;? £s 石-48n■퐇e«» rtfTV**l音어차<+Hs^ rxe 公
청년린합치외모3s하표어 앙천아-el-u會에섞긴망잔 Mxd «_ >H» >>«
5®玄VS3 法 4-IK公)續 vsunrwA«s*WR, ;|公디.;*.93SUWM -lvu*«9*tK- 3^ lwt««atts i 土 UKm_ - ■믛 :<,*€ 바 3*JIC5«Mxw Jstvl,oac 래 當ww公 T Koa 4SJ*»«* *otR a.sr'M轉■ 4TM>l1<rmnb2K>«w ,hlaTvkMgTlltlhiter<l»t»H
KI〔3『Jl*.*1sr«M<.«w 낫의장^ O즣 t ■«刀.9£>|^144貧 naclJr 要 으會!^ KftA,-V !*•*文 K<5S 5 •田-善 艾 i«-e<'« !■.«»«MHMit 며«e것*-«z(*yn대어> e산 wwc»;. ,MJ 어사減*3- V4S® r vwl 시-fc公 Jrftf*lAI
*3^0- JMOM-a Allirvx Asr 어aV公 «3名■:•!次 1r*u ►t>rtk-y 나書®;5>公이a.' s 의*tlKWMfi시M .
표어 모집A.I.5石AI eryrxMFMie- Jr voam安 ■•=Mt公 xlwJ-4•이ftlIv MyAAC ww
* ■玄-olvet
5■餘**7?£ D*ifK
표어 모집으로 말하면 조선에 있어서는 처음 일이라 그래서 그 내용도 시원치 못하여 일등이라고 할 만한 것이 하나도 없었음은 매우 유감된 일이라 하며 이번에 당선된 것으로 말하면 이등이 셋, 삼등 넷이라는데 그중 한두 가지를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2등 내 살림은 내 것으로
2등조선 사람 조선 것
3등 우리 것으로만 살기
오늘 국민 교육 헌장 선포 1주년에 즈음하여, 나는 온 국민과 더불어 뜻깊은 이날을 경축하면서 헌장 이념의 구현을 위한 우리들의 결의를 새로이 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국민 교육 헌장은 우리 민족이 지녀야 할 시대적 사명감과 윤리관을 정립한 역사적 장전이며. 조국 근대화의 물량적 성장을 보완. 촉진시켜 나갈 정신적 지표이며, 국가의 백년대계를 기약하는 국민 교육의 실천 지침인 것입니다.
① 조선 노동 총동맹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② 근우회의 주도로 여성의 권익을 옹호하였다.
③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폐를 목표로 하였다.
④ 자작회, 토산 애용 부인회 등의 단체가 활동하였다.
⑤ 국문 연구소를 세워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① 국민학교라는 명칭을 초등학교로 변경하였다.
② 과외 전면 금지와 대학 졸업 정원제를 시행하였다.
③ 문맹국민 완전퇴치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였다.
④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던 6-3-3 학제를 처음 도입하였다.
⑤ 중학교 입시 제도를 폐지하고 무시험 추첨제를 실시하였다.
47.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49. (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
(가) 1. 조선의 민주 독립을 보장한 3상 회의 결정에 의하여 남북을 통한 좌우 합작으로 민주주의 임시 정부를 수립할 것.
3. 토지 개혁에 있어 몰수, 유조건 몰수. 체감 매상 등으로 토지를 농민에게 무상으로 나누어 주며 시가지의 기지와 큰 건물을 적정 처리하며 중요 산업을 국유화하며 …… 민주주의 건국 과업 완수에 매진할 것.
(나) 3. 외국 군대가 철퇴한 이후 하기(下記) 제 정당 • 단체들의 공동 명의로써 전 조선 정치 회의를 소집하여 조선 인민의 각층 각계를 대표하는 민주주의 임시 정부가 즉시 수립될 것이며 국가의 일체 정권은 정치, 경제. 문화생활의 일체 책임을 갖게 될 것이다.
□ □신문
제스스호 2020년 OO 월 OO 일
경찰관 부당 징계 취소
경찰청은 | (가) | 40주기를 맞아 신군부의 명령을 거부하고 시민들을 보호했다는 이유 등으로 부당하게 징계를 받은 퇴직 경찰관 21명의 징계 처분을 직권 취소했다고 밝혔다. 당시 경찰관에 대한 징계는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의 문책 지시에 따라 이루어졌다. 경찰청은 징계 처분이 재량권을 남용한 하자가 있는 행정 처분 이라고 판단하였고, 중앙 징계 위원회를 개최하여 심의 • 의결을 거쳐 징계 처분을 직권 취소하게 되었다.
① 유상 매수, 유상 분배 원칙의 농지 개혁 법이 제정되었다.
②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한 정읍 발언이 제기되었다.
③ 유엔 총회에서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 총선거가 의결되었다.
④ 여운형이 중심이 되어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⑤ 국가보안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이른바 보안법 파동이 발생 하였다.
① 박종철과 이한열의 희생으로 확산되었다.
②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③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④ 대통령 중심제에서 의원 내각제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⑤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며 대학 교수단이 시위행진을 벌였다.
48. 다음 명령을 시행한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 점]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긴급재정경제명령 제1조(목적) 이 명령은 실지명의에 의한 금융거래를 실시하고 그 비밀을 보장하여 금융거래의 정상화를 기함으로써 경제정의를 실현하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금융실명거래) ① 금융기관은 거래자의 실지명의(이하 "실명” 이라 한다)에 의하여 금융거래를 하여야 한다.
② 금융기관은 이 명령 시행 전에 금융거래계좌가 개설된 금융자산 (이하 “기존금융자산”이라 한다)의 명의인에 대하여는 이 명령 시행 후 최초의 금융거래가 있는 때에 그 명의가 실명인지의 여부를 확인 하여야 한다. ……
제5조(기존비실명자산의 실명전환의무) ① 실명에 의하지 아니하고 거래한 기존금융자산(이하 "기존비실명자산”이라 한다)의 거래자는 이 명령 시행일부터 2월(이하 “실명전환의무기간”이라 한다) 이내에 그 명의를 실명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실명전환의무기간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1월의 빔위 안에서 이를 연장할 수 있다. ……
① 경부 고속 도로를 준공하였다.
②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③ 칠레와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④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⑤ 원조 물자를 가공하는 삼백 산업이 발달하였다.
① 남북 조절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② 개성 공업 지구 조성에 합의하였다.
③ 10 • 4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④ 금강산 해로 관광 사업을 시작하였다.
⑤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에 서명하였다.
'한국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정답- 2020년 49회 한국사_문제지(심화) (0) | 2021.12.06 |
---|---|
기출,정답- 2020년 49회 한국사_문제지(기본) (0) | 2021.12.06 |
기출,정답- 2020년 48회 한국사_문제지(기본) (0) | 2021.12.06 |
기출,정답- 2020년 47회 한국사_문제지(심화) (0) | 2021.12.06 |
기출,정답- 2020년 47회 한국사_문제지(기본) (0) | 2021.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