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급 공무원 (지방직)/건축계획

기출,정답- 2018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계획_문제

by 매일매일 업데이트!
반응형

 

기출 문제 다운로드

2018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계획_정답.pdf
0.08MB
2018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계획_문제.pdf
0.26MB

기출 문제 내용

건축계획 B 책형 1 쪽
건축계획
문 1. 병원 건축의 형태에서 집중식(Block typ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② 의료, 간호, 급식 등의 서비스 제공이 쉽다.
③ 환자는 주로 경사로를 이용하여 보행하거나 들것으로 이동된다.
④ 일조, 통풍 등의 조건이 불리해지며, 각 병실의 환경이 균일하지
못한 편이다.
문 2. 사무소 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엘리베이터 대수 산정 시 단시간에 이용자로 혼잡하게 되는
아침 출근 시간대의 경우, 10분간에 전체 이용자의 1/3 ~
1/10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10분간의 출근자 수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② 엘리베이터는 되도록 한곳에 집중 배치하며, 8대 이하는
직선배치한다.
③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사무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나,
변화하는 작업의 패턴에 따라 조절이 불가능하다.
④ 개실형은 독립성과 쾌적감의 장점이 있지만 공사비가 비교적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문 3. 오스카 뉴먼(O. Newman)이 제시한 공동주택의 안전한 환경창조를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해서 작용하는 4개의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영역성(Territoriality)
② 자연스러운 감시(Natural surveillance)
③ 이미지(Image)
④ 통제수단(Restriction method)
문 4. 은행의 평면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은행실은 일반적으로 객장과 영업장으로 나누어진다.
② 전실이 없을 경우 주 출입문은 화재 시 피난 등을 고려하여
밖여닫이로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③ 객장 대기홀은 모든 은행의 중핵공간이며 조직상의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④ 영업장은 소규모 은행의 경우 단일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문 5. 도서관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용자의 접근이 쉽고 친근한 장소로 선정하며, 서고의 증축
공간을 고려한다.
② 서고는 도서 보존을 위해 항온․항습장치를 필요로 하며
어두운 편이 좋다.
③ 이용자의 입장에서 신설 공공도서관은 가급적 기존 도서관
인근에 건립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이용자, 관리자, 자료의 출입구를 가능한 한 별도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 6. 미술관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시실 순회형식 중 중앙홀 형식은 홀이 클수록 동선 혼란이
적어지고 장래 확장에 유리하다.
② 전시실 순회형식 중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각 실에 직접
들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③ 특수전시기법 중 아일랜드전시는 벽이나 천장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 전시물 또는 전시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전시공간을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④ 출입구는 관람객용과 서비스용으로 분리하고, 오디토리움이
있을 경우 별도의 전용 출입구를 마련하는 것이 좋다.
문 7. 배수트랩(Tra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S트랩 -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기 쉬운 형상이기 때문에
봉수가 파괴될 염려가 많다.
② P트랩-각개 통기관을 설치하면 봉수의 파괴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③ U트랩 - 비사이펀계 트랩이어서 봉수가 쉽게 증발된다.
④ 드럼트랩-봉수량이 많기 때문에 봉수가 파괴될 우려가 적다.
문 8.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상 공연장의
피난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공연장 또는 개별
관람석의 바닥면적합계는 300제곱미터 이상이다)
① 관람석으로부터 바깥쪽으로의 출구로 쓰이는 문은 안여닫이로
하여서는 안 된다.
② 개별 관람석의 각 출구의 유효너비는 1.5미터 이상으로 해야
한다.
③ 개별 관람석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개별 관람석의 바닥
면적 100제곱미터마다 0.6미터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④ 개별 관람석의 바깥쪽에는 앞쪽 및 뒤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하여야 한다.
문 9. 색(色)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색상대비는 보색관계에 있는 2개의 색이 인접한 경우 강하게
나타난다.
② 먼셀(Munsell) 색입체에서 수직축은 명도를 나타낸다.
③ 강조하고 싶은 요소가 있으면 그 요소의 배경색으로 채도가
높은 것을 선정한다.
④ 동일 명도와 채도일 경우, 난색은 거리가 가깝게 느껴지고
한색은 멀게 느껴진다.
건축계획 B 책형 2 쪽
문 10. 음(音)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음의 회절은 주파수가 낮을수록 쉽게 발생한다.
② 음악 감상을 주로 하는 실에서는 회화 청취를 주로 하는
실에서보다 짧은 잔향시간이 요구된다.
③ 볼록하게 나온 면(凸)은 음을 확산시키고 오목하게 들어간
면(凹)은 반사에 의해 음을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다.
④ 음의 효과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각기 다른 흡음처리를
불규칙하게 분포시킨다.
문 11. 학교 건축의 교사배치계획에서 분산병렬형(Finger pla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편복도 사용 시 유기적인 구성을 취하기 쉽다.
② 대지에 여유가 있어야 한다.
③ 각 교사동 사이에 정원 등 오픈스페이스가 생겨 환경이 좋아진다.
④ 일조, 통풍 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하다.
문 12. 급수방식에서 수도직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질오염이 적어서 위생상 바람직한 방식이다.
② 중력에 의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얻는 방식이다.
③ 주택 또는 소규모 건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설비비가 적게 든다.
④ 저수조가 없기에 경제적이지만 단수 시는 급수가 불가능하다.
문 13. 인체의 온열 감각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서 주관적인 변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착의 상태(Clothing value)
② 기온(Air temperature)
③ 활동 수준(Activity level)
④ 연령(Age)
문 14. 팀텐(Team X)과 가장 관계가 없는 건축가는?
① 조르주 칸딜리스(Georges Candilis)
② 알도 반 아이크(Aldo Van Eyck)
③ 피터 쿡(Peter Cook)
④ 야콥 바케마(Jacob Bakema)
문 15. 공기조화방식에서 변풍량단일덕트방식(VAV)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도의 공조환경이 필요한 클린룸, 수술실 등에 적합하다.
② 가변풍량 유닛을 적용하여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③ 저부하 시 송풍량이 감소되어 기류 분포가 나빠지고 환기
성능이 떨어진다.
④ 정풍량 방식에 비해 설비용량이 작아지고 운전비가 절약된다.
문 16. 주차장법 시행규칙 상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의 적합한
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횡단보도, 육교 및 지하횡단보도로부터 10미터에 있는
도로의 부분
ㄴ. 교차로의 가장자리나 도로의 모퉁이로부터 10미터에
있는 도로의 부분
ㄷ.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및 아동전용시설 등의 출입구로부터
10미터에 있는 도로의 부분
ㄹ. 너비가 10미터, 종단 기울기가 5 %인 도로
① ㄱ, ㄷ
② ㄷ,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ㄴ, ㄷ, ㄹ
문 1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 용도지역의 지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도시지역
② 자연환경보전지역
③ 관리지역
④ 산업지역
문 18. 하수설비에서 부패탱크식 정화조의 오물 정화 순서가 옳은 것은?
① 오수 유입→1차 처리(혐기성균) →소독실→2차 처리(호기성균)
→ 방류
② 오수 유입→1차 처리(혐기성균) →2차 처리(호기성균) →소독실
→ 방류
③ 오수 유입→스크린(분쇄기) →침전지→폭기탱크→소독탱크
→ 방류
④ 오수 유입→스크린(분쇄기) →폭기탱크→침전지→소독탱크
→ 방류
문 19. 부석사의 건축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석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었다.
② 무량수전은 주심포식 건축이다.
③ 무량수전 앞마당에는 신라 양식의 5층 석탑이 있다.
④ 산지가람의 배치특성을 가진다.
문 20. 노인복지법 상 노인주거복지시설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한
것은?
①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② 노인요양시설, 경로당, 노인복지주택
③ 주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④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단기보호시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