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문제 다운로드
기출 문제 내용
건축구조 A 책형 1 쪽
건축구조
문 1. 건축구조기준(KBC2009)에서 규정한 기본등분포활하중이 가장
큰 부분은?
① 기계실(공조실, 전기실, 기계실 등)
② 옥내주차구역 중 승용차 전용 주차장
③ 판매장 중 창고형 매장
④ 체육시설 중 체육관 바닥, 옥외 경기장
문 2. 균형철근비를 초과하는 주인장철근이 배근된 철근콘크리트 보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극한상태에서는 취성적인 파괴가 나타난다.
② 중립축의 위치는 균형철근비 이하로 보강된 경우보다 주인장
철근 방향으로 내려간다.
③ 사용하중에 대한 처짐은 균형철근비 이하로 보강된 경우보다
작게 나타난다.
④ 극한상태의 휨강도는 균형철근비 이하로 보강된 경우보다 작게
나타난다.
문 3. 목구조 접합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길이를 늘이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접합하는 것을 맞춤이라
하고 경사지게 만나는 부재 사이에서 양 부재를 가공하여 끼워
맞추는 접합을 이음이라 한다.
② 맞춤부위에서 만나는 부재는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공간을
두어 접합한다.
③ 인장을 받는 부재에 덧댐판을 대고 길이이음을 하는 경우
덧댐판의 면적은 요구되는 접합면적의 1.0배 이상이어야 한다.
④ 못 접합부에서 경사못박기는 부재와 약 30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문 4. 콘크리트구조기준을 적용하여 철근콘크리트 휨부재를 설계 및
해석할 때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속 휨부재에서 휨모멘트의 재분배는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단면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0.0075 이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② 휨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 이하일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철근의 단면적을 곱한 값으로 한다.
③ 긴장재를 제외한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 MPa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④ 포스트텐션 정착부 설계에서, 최대 프리스트레싱 강재의
긴장력에 대하여 하중계수 1.2를 적용하여야 한다.
문 5. 구조용 목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계등급구조재는 휨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기계장치에 의하여
등급 구분한 구조재이다.
② 건조재는 침엽수구조재의 건조상태구분에 따라 KD15와
KD18로 구분한다.
③ 육안등급구조재는 침엽수구조재의 각 재종별로 규정된 등급별
품질기준에 따라서 5가지 등급으로 구분한다.
④ 침엽수구조재의 수종구분은 낙엽송류, 소나무류, 잣나무류,
삼나무류로 구분한다.
문 6. 수동크레인을 설계할 경우 철골 보의 처짐 한계로 옳은 것은?
① 스팬의
② 스팬의
③ 스팬의
④ 스팬의
문 7. 옹벽의 안정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
이어야 한다.
② 전도에 대한 저항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휨모멘트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③ 지반에 유발되는 최대 지반반력이 지반의 극한지지력을 초과
하지 않아야 한다.
④ 활동에 대한 안정조건만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활동
방지벽을 설치하여 활동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문 8. 다음 캔틸레버 보에 대하여 경간()의
지점에 집중하중()이
작용한다. 이때 자유단(a점)의 처짐은? (단, 부재 경간 전체에
대하여 탄성계수()와 단면2차모멘트()는 동일하다)
a b
①
②
③
④
문 9. 말뚝재료의 허용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성콘크리트말뚝의 장기허용압축응력은 콘크리트설계기준
강도의 최대
까지로 한다.
② 나무말뚝의 장기허용압축응력은 소나무, 낙엽송, 미송에 있어서는
6 MPa로 한다.
③ 강재말뚝의 단기허용압축응력은 장기허용압축응력의 1.5배로
한다.
④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장기허용압축응력은 말뚝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콘크리트가 물 또는 흙탕물 중에 타설될 경우
콘크리트설계기준강도의
또한 5 MPa 이하로 한다.
건축구조 A 책형 2 쪽
문 10. 철골구조에서 병용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단접합에서 볼트접합은 용접과 조합해서 하중을 부담시킬
수 없다.
② 1개소의 이음 또는 접합부에 고력볼트와 볼트를 겸용하는
경우에 강성이 큰 고력볼트에 전내력을 부담시켜야 한다.
③ 내진성능요구도가 낮은 접합부를 제외한 기둥-보 모멘트
접합부에서 용접과 볼트가 병용될 경우에 볼트는 마찰접합을
사용한다.
④ 마찰볼트접합으로 기 시공된 구조물을 개축할 경우 병용되는
용접은 추가된 소요강도를 받는 것으로 용접설계를 병용할
수 있다.
문 11. 조적벽이 구조물의 횡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될 때 경험적
설계를 위한 전단벽간의 최대 간격 비율(벽체간 간격 : 전단벽
길이)이 가장 큰 바닥판 또는 지붕 유형은?
① 콘크리트타설 철재 데크
② 현장타설 콘크리트
③ 무타설 철재 데크
④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문 12.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인장지배단면이
되기 위한 최외단 인장철근의 인장지배변형률 한계는? (단, 인장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 MPa이다)
① 0.004
② 0.005
③ 0.00625
④ 0.0075
문 13.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판별 결과로 옳은 것은?
① 불안정 구조물
② 정정 구조물
③ 1차 부정정 구조물
④ 2차 부정정 구조물
문 14. 강재의 용접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 탄소와 탄소 이외의
원소를 탄소의 상당량으로 환산하여 산정한 탄소당량(Ceq)이라는
값이 쓰이는데, 건축구조용 강재의 탄소당량을 산정하는 구성
성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Cr(크롬)
② Mn(망간)
③ V(바나듐)
④ Na(나트륨)
문 15. 단면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단면의 도심을 지나는 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는 0이다.
② 단면상의 서로 평행한 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중 도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가 최대이다.
③ 단면의 주축에 대한 단면상승모멘트는 0이다.
④ 동일 원점에 대한 단면극2차모멘트 값은 직교좌표축의 회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문 16.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보통중량 콘크리트에 정착되고 에폭시를
도막하지 않은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인장에 대한 기본정착길이
(ldt)는? (단, 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는 철근직경이며,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정착
길이 설계를 위한 모든 제한 사항은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① ② ③ ④ 문 17. 풍하중 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풍하중은 주골조설계용 수평풍하중, 지붕풍하중 및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으로 구분한다.
② 주골조설계용 지붕풍하중을 산정할 때 내압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는다.
③ 설계속도압은 수압면적과 설계풍속을 곱하여 산정한다.
④ 통상적인 건축물에서는 가장 높은 지붕의 높이를 기준높이로
하며, 그 기준높이에서의 속도압을 기준으로 풍하중을 산정
한다.
문 18. 래티스형식 조립압축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립부재의 재축방향의 접합간격은 소재세장비가 조립압축재의
최대세장비를 초과하도록 한다.
② 단일래티스부재의 세장비 L/r은 140 이하로 한다.
③ 압축력을 받는 래티스의 길이는 단일래티스의 경우 주부재와
접합되는 비지지된 대각선의 길이이며, 복래티스의 경우 이
길이의 50 %로 한다.
④ 단일래티스의 경우 부재축에 대한 래티스부재의 기울기는 50 °
이상으로 한다.
문 19. 허용응력설계법을 적용한 보강조적조의 철근배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대철근 치수는 35 mm로 한다.
② 최대철근 면적은 겹침이 없는 경우 공동면적의 5 %, 겹침이
있는 경우 공동면적의 10 %가 되어야 한다.
③ 줄눈보강근 이외 철근의 최소피복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때는 40 mm, 흙에 노출되어 있을 때는 50 mm이다.
④ 원형철근에 대한 정착길이는 인장력을 받는 경우 이형철근이나
이형철선에 요구되는 정착길이의 2배로 한다.
문 20.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단근보의 계수휨모멘트
(Mu)가 850 × 106 N․mm이고, 공칭강도저항계수(Rn)가 4 N/mm2
이다. 보 유효깊이의 제곱(d
2)이 500,000 mm2이고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이 0.01일 때, 계수휨모멘트를 만족하기 위한
보의 최소폭은? (단, Rn 이며, 는 인장철근비,
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
강도이다)
① 500 mm ② 550 mm
③ 600 mm ④ 650 mm
'9급 공무원 (지방직) > 건축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정답- 2015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
기출,정답- 2014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기출,정답- 2012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기출,정답- 2011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기출,정답- 2010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