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 문제 다운로드
기출 문제 내용
건축구조 C 책형 1 쪽
건축구조
본 문제는 2016년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축구조기준(KBC 2016)에
부합하도록 출제되었습니다.
문 1.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목구조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평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과 강도를 갖도록 설계한다.
② 각 골조 및 벽체는 되도록 균등하게 하중을 분담하도록 배치
한다.
③ 골조 또는 벽체 등의 수평저항요소가 개별적으로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바닥평면이 개별화된 격막구조가 되도록
한다.
④ 수평하중이 격막구조를 통하여 구조 각부에 전달되도록 바닥
구조와 구조 각부를 긴밀하게 접합한다.
문 2. 철근콘크리트 단근 직사각형보를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할 경우,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계산 시 고려하지 않는 것은?
① 종방향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② 보의 폭
③ 주철근의 순간격
④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문 3.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지하외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반에 유발되는 최대 지반반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초과
하여야 한다.
② 전도에 대한 저항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③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
이어야 한다.
④ 옹벽은 상재하중, 뒤채움 흙의 중량, 옹벽의 자중 및 옹벽에
작용되는 토압에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문 4. 보강조적조의 강도설계법에 의한 내진설계에서 부재의 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의 폭은 120 mm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② 보의 깊이는 적어도 200 mm 이상이어야 한다.
③ 피어의 횡지지 간격은 피어 폭의 30배를 넘을 수 없다.
④ 기둥의 횡지지 간격은 기둥 폭의 30배를 넘을 수 없다.
문 5.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인장 이형철근 및 이형철선의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에폭시 피복철근의 경우에는 부착력이 증가된다.
② 기본정착길이는 식
에 따라 구하여야 한다.
③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④ 횡방향철근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설계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횡방향철근지수는 0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 6. 축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최소철근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설계기준항복강도 400 MPa 이상인 D16 이하 이형철근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평철근비는 0.0020이다.
② 설계기준항복강도 400 MPa 이상인 D16 이하 이형철근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직철근비는 0.0012이다.
③ 지름 16 mm 이하 용접철망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직
철근비는 0.0010이다.
④ 수직 및 수평철근의 간격은 벽두께의 3배 이하, 또한 45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문 7. 단면적이 200 mm2로 균질하고 길이가 2 m인 선형탄성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10 kN의 중심인장력을 받을 경우, 늘어나는 길이는?
(단, 부재의 자중은 무시하고 탄성계수 E = 200,000 N/mm2이다)
① 0.5 mm ② 1.0 mm
③ 1.5 mm ④ 2.0 mm
문 8. 보강조적조의 허용응력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설계의 기본은 균열단면과 적절한 안전계수를 갖는 선형탄성
응력법이다.
② 줄눈보강근 이외에 모든 철근은 모르타르나 그라우트에 묻혀
있어야 한다.
③ 설계 시 철근은 조적재료로 피복 부착되어서 허용응력 이내
에서는 하나의 균일한 재료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④ 설계 시 조적조는 인장응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문 9.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압축부재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사각형이나 원형띠철근
으로 둘러싸인 경우 4개로 하여야 한다.
②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는 경우의 철근비는 0.05 이상
이어야 한다.
③ 하중에 의해 요구되는 단면보다 큰 단면으로 설계된 압축
부재의 경우, 감소된 유효단면적을 사용하여 최소철근량과
설계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④ 비합성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문 10. 그림과 같은 트러스 구조를 구성하는 부재 ㉠ ~ ㉣ 중 부재력의
크기가 0이 아닌 것은? (단, 부재의 자중은 무시한다)
2 kN
2 kN
㉠ ㉢
㉣
㉡
1.5 m
1.5 m
2 m 2 m 2 m 2 m
① ㉠ ② ㉡
③ ㉢ ④ ㉣
건축구조 C 책형 2 쪽
문 11. 목구조 구조해석의 기본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응력과 변형의 산정은 소성해석을 기본으로 한다.
② 접합부 성상에 따라 핀 또는 강접합으로 가정한다.
③ 가정한 절점이 실상과 다를 경우 필요에 따라 2차응력의
영향을 고려한다.
④ 목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부재는 적절한 구조요소로 모델화한다.
문 12. 지반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사전 평가 및 검토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지반침하에 따른 영향
② 경사지에서의 부지를 포함한 사면의 붕괴나 변형의 가능성
③ 옹벽의 전도에 대한 영향
④ 지진 시 액상화 발생의 가능성
문 13. 그림과 같은 H형강의 치수표시법으로 옳은 것은?
400 mm
200 mm
200 mm
8 mm
13 mm
13 mm
① H - 200 × 400 × 13 × 8
② H - 200 × 400 × 8 × 13
③ H - 400 × 200 × 13 × 8
④ H - 400 × 200 × 8 × 13
문 14.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한계상태설계법을 사용하는 구조기준에서는 하중계수를 사용
하여 증가시킨 소요강도와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하여 공칭강도를
감소시킨 설계강도를 비교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②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
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③ 활하중은 점유 또는 사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소의 하중이어야 한다.
④ 풍하중은 각각의 설계풍압에 유효수압면적을 곱하여 산정한다.
문 15. 기성콘크리트말뚝의 구조세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근은 4개 이상으로 한다.
② 주근 단면적의 합은 말뚝 실단면적의 0.8 % 이상으로 한다.
③ 주근의 피복두께는 30 mm 이상으로 한다.
④ 기성콘크리트말뚝을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지름의
2.5배 이상 또한 750 mm 이상으로 한다.
문 16. 그림과 같은 조건의 강재기둥이 중심압축력을 받을 때 탄성좌굴
응력은? (단, E는 강재의 탄성계수이다)
b
h
2 L
P
P
<단면의 형상>
(h > b)
①
②
③
④
문 17. 지진하중 산정 시 증축 구조물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존 구조물과 구조적으로 독립된 증축 구조물은 신축 구조물로
취급한다.
② 기존 구조물과 구조적으로 독립되지 않은 증축 구조물의
경우에는 전체 구조물을 신축 구조물로 취급한다.
③ 기존 구조물의 구조변경으로 인하여 산정한 소요강도가 기존
부재의 구조내력을 5 % 이상 초과하는 경우에는 구조보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④ 용도변경으로 인해 구조물이 건축물의 중요도분류에서 더 높은
내진중요도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 이 구조물은 변경 이전
그룹에 속하는 구조물에 대한 하중기준을 따라야 한다.
문 18. 강구조에서 고장력볼트의 미끄럼 한계상태에 대한 마찰접합의
설계강도 계산 시 고려하지 않는 것은?
① 볼트구멍의 종류 ② 피접합재의 두께
③ 설계볼트장력 ④ 전단면의 수
문 19. 강구조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티프너는 하중을 분배하거나, 전단력을 전달하거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부재에 부착하는 구조요소이다.
② 비지지길이는 한 부재의 횡지지가새 사이의 간격으로 가새부재의
도심 간 거리로 측정한다.
③ 구속판요소는 H형강의 플랜지와 같이 하중의 방향과 평행하게
한쪽 끝단이 직각방향의 판요소에 의해 연접된 평판요소이다.
④ 가새골조는 횡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건물골조시스템 또는
이중골조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중심형 또는 편심형의 수직
트러스 또는 이와 동등한 구성체이다.
문 20. 그림과 같은 조건을 갖는 보에서 휨모멘트의 크기가 0이 아닌
지점은?
6 m 3 m 3 m
㉠ ㉡ ㉣
㉢
1 kN/m
① ㉠ ② ㉡
③ ㉢ ④ ㉣
'9급 공무원 (지방직) > 건축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정답- 2020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
기출,정답- 2018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기출,정답- 2016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기출,정답- 2015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기출,정답- 2014년_9급 공무원 (지방직) 건축구조_문제 (0) | 2021.12.14 |
댓글